Surprise Me!

[자막뉴스] '안 사요' 충격에 빠진 부동산...연쇄부도 번지나 / YTN

2023-01-23 534 Dailymotion

단군이래 최대 재건축이라 불리며 관심을 끌었던 둔촌 주공 아파트. <br /> <br />고금리에 고분양가 논란으로 대규모 미분양 우려가 있었지만, 부동산 규제 대거 해제에 힘입어 계약률 70% 수준을 기록하며 비교적 선방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고금리와 각종 규제는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소. <br /> <br />부동산 연구기관들은 고금리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올해 집값은 지난해보다 2~4%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 거래절벽이 계속 이어질 경우 전국 아파트는 8.5%, 서울은 9.5%, 수도권은 13%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고금리에 경기침체가 겹치면 집값이 더 떨어질 수 있고요. 특히 올 부동산 시장에서 경기 침체가 더 큰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셋값은 서울의 경우 1%에서 6%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6만 가구를 넘기며 급격하게 증가하는 미분양은 건설사와 관련 금융사들의 연쇄부도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해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: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서는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와 실수요자에 대한 DSR 규제 완화 등 얼어붙은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적극적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의 규제 완화와 함께 금리 상승 행진이 멈출 경우 서울 강남권 등 수요가 많은 지역은 이르면 하반기부터 보합이나 반등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연구기관 등의 대체적인 전망은 내년을 저점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따라서 실수요자의 경우 급할 것이 없는 만큼 분양이나 경매시장, 급급매물 위주로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12315162110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